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웹사이트

3편 : GA 리포트 활용 방법

by 들어봤음 2022. 10. 7.

[모든 페이지]는 이탈률을 확인하는 용도입니다.

※ 유니버셜 애널리틱스를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Not GA4)

 

#경로: 행동 > 사이트 콘텐츠 > 모든 페이지

[모든 페이지]에는 앞선 글들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한 전환율 데이터가 없는 데, 여기엔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쇼핑몰의 경우, 고객 전환이 발생하는 페이지는 '결제 페이지' 뿐이다 보니 다른 페이지는 모두 전환율이 0%입니다. 즉, 이 리포트에선 의미 없는 데이터가 될 뿐입니다.
  2. 이 리포트는 사람 Base로 데이터를 집계하지 않고 '세션 Base'입니다. 한 세션 중에 해당 페이지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보는 용도기 때문에 전환율(유저 Base)을 노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페이지]에서는 어떤 페이지가 이탈률이 높은 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강사님께선 이탈률에 의한 사이트 건강 수준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십니다.

  • 40% 미만 : 건강한, 낮은 수준의 이탈률
  • 40~70% : Normal한 이탈률
  • 70% 초과 : 다소 높은 수준의 이탈률

페이지별 이탈률을 확인할 때는 또 한 가지 고려하실 사항이 있습니다. 단순히 이탈률만 보는 게 아니라, 페이지뷰 수를 고려해서 데이터를 읽으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동일하게 이탈률이 100%인 페이지 A, 페이지 B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때 페이지 A는 페이지뷰가 100인 반면, B는 페이지뷰가 10일 경우에 어떤 페이지가 더 심각한 이탈률을 가지는 것 같으십니까? 바로 페이지 A입니다. 한 세션에서 페이지뷰가 무려 10배나 높은 데, 모든 세션에서 다 이탈하는 상황이니 말이죠. (100명 들어와서 100명 모두 나가는 음식점 하고, 10명 들어와서 10명 나가는 음식점을 생각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때는 아래 사진과 같이 페이지 정렬 유형에서 '가중치 적용'을 선택 후 보셔야 페이지뷰 수 대비 이탈률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으십니다. 

 

[모든 페이지] 보고서 정렬 설명
[모든 페이지] 보고서 정렬 설명 이미지

[방문 페이지] 리포트는 랜딩 페이지의 전환율을 살피기에 좋다.

#경로: 행동 > 사이트 콘텐츠 > 방문 페이지

방문 페이지는 유저가 처음으로 유입된 페이지(UR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유저 1명당 방문 페이지는 1개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전제를 가지시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쇼핑몰과 같은 온라인 셀링 채널에선 방문 페이지를 전환율 점검(A/B 테스트 등) 시에 사용해야 합니다.

 

어떤 페이지로 유입되어야 고객이 구매로 이어지는 확률이 높아지는 지를 데이터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죠. 이를 기반으로 여러 전략을 세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상품 카테고리 페이지로 유저를 유입시켜 다양한 상품을 노출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거나 상세 페이지로 바로 유입시켜 구매 경로를 단축시키는 전략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쇼핑몰'의 입장에서 확인해봐야 할 [전환 리포트]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