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웹사이트

[1편] 판다랭크 완벽 가이드, 처음 사용하는 분들께(신사임당 추천)

by 들어봤음 2023. 1. 9.

신사임당이 추천한 키워드 분석툴, 판다랭크를 소개합니다.

독자분들께서도 키자드, 키워드 마스터, 블랙키위, 썸트렌드, 네이버 광고 등의 키워드 분석하는 사이트에 대해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판다랭크' 또한 그중에 하나이며, 신사임당(유명 스마트스토어 셀러이자 PD)이 소개, 추천, 광고하면서 알려진 툴입니다. 유명인이 추천한다고 무작정 신뢰하거나 남에게 추천할 순 없는 노릇이니, 오늘 누군가(여러분)를 대신해서 제가 한번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따라오시죠🧐


판다랭크 배너
출처: 판다랭크 (https://pandarank.oopy.io/)

 

근데 믿을 만한 사이트인가요? 대표는 누구죠? 

저 또한 여러 분석툴을 써오면서 가지던 의문입니다. '과연 믿을 만한 데이터가 맞는가?' 처음부터 이와 같은 의문을 가지신 분이라면 데이터 좀 다뤄보신 분이실 것 같습니다. 의문이 없으셨다면 아래 격언을 한번 봐주세요.

Garbage in, garbage out
(의역: 수집된 데이터가 쓰레기면, 그걸로 분석한 결과 역시 쓰레기다)

저도 처음 들었을 당시에 무릎을 쳤던 기억이 새록새록하네요. 각설하고 다시 말씀드리자면, 판다랭크를 만든 곳은 선데이띵커, 대표이사는 박재현(33세로 추정)입니다. 박재현 대표는 대형 언론사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소개된 걸로 보아 적어도 최소한의 신뢰성이나 전문성은 입증된 분이라고 봐도 괜찮겠습니다. 요약하면, 젊은 나이에도 사업가적 기질을 발휘하며 투자도 받았고 현재 소상공인을 위한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론칭하여 순항 중이라고 합니다. 

출처: 중앙일보
한국경제 박재현 기사
출처: 한국경제

+ 2022.05엔 도매사이트 '도매꾹'과의 MOU를 체결했네요.

+ 박재현 대표이사는 판다랭크가 인공지능 연구원과 커머스 전문가들이 함께 만든 서비스라고 했지만 인공지능 연구원이 어디인지 명확히 검색되지 않을뿐더러 커머스 전문가가 누군인지도 다소 애매한 부분이 있긴 합니다. 

 

잠깐! 판다랭커는 네이버 셀러(스마트스토어 운영자), 네이버 블로그를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참고로 독자님께서 현재 보고 계신 글은 티스토리 블로그입니다. 네, 저는 100% 활용할 수 없는 키워드 분석툴입니다. 잠시만요 (안경을 올리고 눈에서 흐르는 걸 휴지로 닦아낸다). 위 제목에서 적었듯 이 사이트는 상품을 판매하시는 셀러분들에게 특히 유용해 보입니다. 스마트스토어 운영자 또는 쿠팡 셀러 분들이 여기에 해당되겠네요. 또한 네이버 블로거를 위한 블로그 진단 기능도 있네요 (다시 휴지를 집어든다)

 

다음으로 판다랭커에서 제공 중인 기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기능 소개 : 키워드 찾기

[메뉴 - 키워드 찾기] 에선 특정 키워드를 입력해서 찾는 '검색어 찾기'와 '카테고리로 찾기' 2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검색어 찾기는 특정 단어, 키워드에 대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고, 카테고리로 찾기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듯 1차~3차까지 세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해당 카테고리에서 데이터만 보고 키워드를 찾는 방식입니다.  

 

즉, 검색어로 찾는 건 서울에서 김서방이라는 민증으로 사람을 찾는 거고, 카테고리로 분류해서 찾는 건 서울 거주자, 남자, 김씨성을 가진 사람들 리스트를 보고 김서방을 찾는 방식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비유가 적절했는지 나중에 반성해 보자)

검색어, 카테고리찾기

 

어떤 방식으로 찾든 간에 사용자에게 보이는 데이터는 동일합니다. 어떤 데이터가 있냐면,

  • 경쟁률 : 상품량 ÷ 검색량
  • 쇼핑전환 (지수) : 월간 검색량 대비 실제 구매 관련 지수
  • 광고비 : 키워드별 평균 광고입찰비용 
  • 검색량 : 최근 한 달 네이버에서의 검색빈도
  • 상품량 : 네이버에 등록된 상품수
  • 평균가 : 검색에 사용한 키워드 상위 n개 제품들의 평균가격

그리고 아래 그림에서 보실 수 있듯이, 저는 개인적으로 [숫자로 보기]를 추천합니다. [간단히 보기]가 명확하게 어떤 기준으로 적용된 지 명확히 이해되지 않을뿐더러, 숫자를 보시면 데이터를 보는 감각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키워드찾기 검색결과
개인적으로 [숫자로 보기]를 눌러서 실제 데이터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필터] 기능 역시 꼭 활용하셔야 합니다. 엑설, 스프레드시트에서도 필터 기능은 아주 요긴하며 이건 판다랭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굳이 검색량, 상품량이 낮은 키워드를 보면서 고민의 폭만 넓힐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색 필터에서 검색량 최소 5,000은 걸어 두시는 걸 항상 추천합니다. 

검색필터 팝업

 

[정렬] 기능을 빼두면 또 섭섭하지요~ 네 검색결과에서 정렬을 통해 효과적으로 가장 높은 것들을 오름차순(작은 것에서 큰 것) 또는 내림차순(큰 → 작은)으로 보시면서 전체적인 데이터의 구성, 키워드별 데이터 흐름이나 특징 등을 눈에 익히시는 걸 추천합니다. 

 

사용자가 데이터셋 내에서 정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그런데 웹상에서는 딱 1개의 데이터에만 정렬을 걸 수 있다 보니 좋은 인사이트 (예: 어떤 키워드가 경쟁률은 낮으면서 쇼핑 전환율은 높은지)를 한 번에 얻기 힘들기도 합니다. 이때는 [엑셀 다운로드]를 하여 직접 데이터를 다뤄보시기를 추천합니다.  

데이터 정렬 캡쳐

그래서 어떤 키워드가 좋은 거죠? [황금키워드]는 편하지만, [엑셀 다운로드] 안목을 길러줍니다.

판다랭크는 이 키워드가 좋으니, 이걸로 판매하세요!라고 특정해 주는 사이트는 아닙니다. 여러분께서 직접 선택, 낚아 올려야 합니다. 그물 안에 잡힌 물고기들의 특징을 알려주었으니 어떤 물고기를 낚어야 하는지는 우리의 몫인 거죠. 그래서 제가 직접 엑셀로 한번 살펴봤습니다. (해당 엑셀은 글 하단에 첨부했습니다)

 

아래 그림은 제가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편집한 상태입니다. 직접 다운로드하여 보시면 아시겠지만, 한 번에 사용하기엔 약간 무리가 있으니 취향에 맞게 편집하여 사용하시는 게 좋겠네요. 편집한 사항 및 느낀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평균, 중간값, 사분위 등 데이터를 분류하는 함수를 적용했습니다.
  • 각 칼럼(열) 별로 높을수록 좋은 것과 낮을수록 좋은 것이 서로 다릅니다.
  • 각 키워드별 절댓값보다 상대적인 수준을 파악하는 게 좋겠습니다. 해당 키워드가 모든 카테고리의 상품과 경쟁하는 것은 아니니깐요.
  • 판다랭크에서는 상대적 기준으로 각 데이터를 최적, 좋음, 중간, 나쁨, 최악 5단계로 구분합니다. 다만, 정확하게 어떤 기준으로 5개로 나누는지 다운로드한 데이터로만으로 파악하기 어렵네요. 평균, 중간값, 4분위수 로도 명확하게 분리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엑셀분석1

다음은 퀀트주식을 하는 분이 사용하던 방법인데 각 데이터에 랭크(순위)를 매긴 후, 그 랭크값들의 평균으로 다시 한번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키워드별로 경쟁률, 쇼핑전환, 광고비에 대한 순위를 구한 후, 그 순위들의 평균을 다시 산출했습니다. 그 후 Top5 키워드를 아래 그림처럼 선정했습니다.  

데이터 엑셀분석2

첨부된 엑셀로 데이터를 다루는 연습을 해보시길 추천하며, 본인만의 감각으로 좋은 키워드를 선별하여 성과를 내보시기 바랍니다.

pandarank_2023-01-11.xlsx
0.03MB

2편에서는 찾아낸 키워들을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다룰 예정입니다. 

준비해서 금방 오겠습니다. 본인의 쇼핑몰, 스마트스토어에 어떤 키워드가 좋을지 찾아가는 여정을 이번 시리즈로 도와드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편] 판다랭크 사용 노하우 공개! 키워드 분석과 가격분석

 

 

판다랭크

No.1 데이터 분석 플랫폼

pandarank.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