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웹사이트

3-1편: GA 리포트 활용 방법, 전환, 전자상거래, 쇼핑 행동 등

by 들어봤음 2022. 12. 21.

GA  [전환 리포트] 보는 법

※ 유니버셜 애널리틱스를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Not GA4)

앞선 포스팅에서 강조했듯이 GA를 사용하는 제일 큰 목적 중에 하나는 바로 웹사이트의 '전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오늘은 전자상거래(쇼핑몰, GA 데모 계정)를 기준으로 전환 리포트를 어떤 포인트에서 봐야 할지 다루겠습니다. 


고객의 결제 여정을 살펴보려면, 쇼핑 행동

#경로: 전환 > 전자상거래 > 쇼핑 행동 

고객이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결제 단계까지 가는 숫자(단계별 유입 및 이탈 수준)를 보여주는 리포트입니다. 예를 들자면, 하나의 세션(고객 수 아님!) 이 제품을 살펴보고 장바구니에 담고 이를 결제를 완료하는 과정까지 얼마나 유지됐는지 혹은 이탈했는 지를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이 리포트에선 고객 여정에서 어떤 이슈가 있는지 파악하는 게 목적이며,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랜딩페이지에서부터 제품 조회 단계까지는 고객이 이탈 없이 잘 넘어왔는데, 장바구니에 추가하는 수가 매우 적다면? 
    • 제품 리스트 페이지 또는 상세 페이지에서 장바구니 버튼이 눈에 띄지 않는 경우
    • 제품의 상품성, 가격적 메리트가 약한 경우, '광고는 퀄리티도 좋고 가격도 쿠폰 먹이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것처럼 보였는데 옵션 넣어보니 보니 아니네'와 같은 경우...(제가 많이 느꼈던 부분입니다) 
    • GA에서 데이터 수집에 문제가 생긴 경우, 자주는 아니지만 벌어질 수 있습니다.
  • 장바구니까지 넣었는데 결제하는 세션수에서 이탈률이 확 높아진다?
    • 배송지 입력, 결제 방법 선택 등에서 소비자가 불편함을 느꼈을 경우. 예를 들면, 주소 검색이 안 되거나 페이코, 삼성 페이 결제가 안 되는 경우가 있겠습니다.
    • 발급받은 쿠폰을 쓰러 왔는 데 막상 사용 불가능한 경우 (아... 쓰면서도 감정 이입되네요)

네이버 페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슈?!

참고로 한국 쇼핑몰에서 주로 발생하는 케이스가 하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특이하게 거래 발생한 세션수가 결제 세션수보다 많습니다. 이는 네이버 페이 때문인데요, 쇼핑몰에서 네이버 페이로 결제하면 자사 웹사이트에서 네이버 페이의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그리고 네이버 페이 페이지에서 결제 완료를 마치더라도 자동적으로 다시 자사 웹사이트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결국 GA가 네이버 페이 페이지를 추적하지 못하고 결제 단계에서 네이버 페이 결제 클릭 시, 그냥 구매했다고 가정하고 거래 발생 세션수를 추가하게 되는 겁니다.

GA 쇼핑 행동 분석 캡쳐
GA - 전환 - 쇼핑 행동

 

다음 시간에는 유입 경로에 대한 얘기를 다뤄볼 예정인데요, 고객 여정의 각 단계별로 세션의 유입/이탈수 그리고 어디로 이탈됐는 지를 알려주는 리포트입니다. 시각화가 잘 되어 있어 보고자료 만들 때도 편한만큼 꼭 사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